Novotel Seoul Ambassador Gangnam
펠렛의 수요아시아에서의 바이오에너지원으로써 바이오매스 Feed-in Asia's Demand for Wood Pellets & Biomass for Power & Heat
| |
You will network with: |
Confirmed Speakers:
|
서울에서 열릴 3차 아시아 바이오매스 펠렛 무역 컨퍼런스에 앞서 제공되는 탄소 배출 관련 백서
9월 12일부터 13일까지 서울에서 열릴 CMT의 '3차 아시아 바이오매스 펠렛 무역 컨퍼런스'는 아시아에서의 바이오에너지원으로써 바이오매스 펠렛의수요, 공급, 원료 획득, 기술 및 활용을 집중 조명합니다. 본 행사에 앞서 보다 가치 있는 내용의 탄소 배출에 대한 백서를 제공해드립니다.
'바이오매스를 통한 탄소 배출 감축'라는 주제의 백서는 바이오매스를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인정받게 하는 바이오매스의 특징 뿐만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바이오매스 펠렛의 수요와 무역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 요인에 대해 다룹니다. 폴리 매니지먼트 컨설팅에서 탄소와 바이오매스 에너지에 대한 전문가이자 저자이기도 한 리카르드 프리시오프(Rickard Frithiof)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백서에서는 바이오에너지 프로젝트에서 실제 이산화탄소의 균형점,신재생에너지 촉진을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해야할 점, 그리고 이러한 측면이 에너지 경제에 가져올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백서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 두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4페이지 분량의 백서는 9월12일부터 13일까지 서울에서 개최 예정되어 있는 3차 아시아 바이오매스 펠렛 무역 컨퍼런스에 앞서 웹상에서 다운로드를 통해 독자들에게만 제공됩니다.백서의 다운을 원하시는 분은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아시아 지역의 우드 펠렛/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와 열 생산 지원 방안"이라는 주제로 개최될 컨퍼런스에서는 바이오매스 펠렛 시장에서 예상되는 시나리오를 다각적인 방향에서 논의할 예정입니다. 특히, 전력 혹은 열병합전력(CHP, Combined Heat and Power)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의 수요,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 in Tatiff),일본/한국/중국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동남아시아지역으로부터의 농업 바이오매스 공급과 우드 펠렛 확보 방안, 바이오매스 무역경제, 바이오 발전, 아시아 지역의 건조기술 분석, 대규모 바이오매스 혼합연소와 열방합발전 실행 전망, 산업 전력과 혼합연소 플랜트에서의 바이오매스 활용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질 내용입니다. 컨퍼런스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hafizah@cmtsp.com.sg (담당: Ms. Hafizah)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
| PROFILE OF PAST YEAR ATTENDEES |
![]() |
| Published articles for your interest and reference: |
Transforming wood residues to energy – Thestar.com.my, 6 August 2012
Korea Southern Power to Buy Wood Pellets for Renewables Quota – Bloomberg.com, 20 July 2012
Govt to set prices for biomass energy - The Jakarta Post, 12 July 2012
Japanese Proposed Tariffs Submitted - RenewableEnergyWorld.com, 4 May 2012
South Korea Approves Cap-and-Trade Plan - The Asia Wall Street Journal, 2 May 2012
Thai coal plant to be retrofitted for biomass generation - CleanBiz Asia, 29 Sept 2011